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민우회
- 자별금지
- 민우총회
- 건강가정기본법
- 성평등
- 노조법 2·3조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1029
- 성폭력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성평둥
- 여성가족부
- 노란봉투법
- 38여성대회
- 수요시위
- standwithmyanmark
- 임신중지
- 추모촛불
- 1029참사
- 성평등민주주의
- 강간죄 개정
- 38여성의날
- 채용차별
- 차별금지
- 채용성차별
- 3·8 세계여성의날
- 여성노동자
- 고용평등상담실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Today
- Total
목록민우마당 (404)
성평등복지국가

▲마침내, 성평등_우리가 마주한 조직문화: 대중설문결과공유 2022년 5월 19일부터 7월 14일까지 실시, 178명 참여 ▲(Q. 내가 일하는 조직은 성평등하다고 생각하나요? 전혀그렇지않다 38명(21.3%), 그렇지않다 56명(31.5%), 보통이다 46명(25.8%), 그렇다 29명(16.3%), 매우그렇다 9명(5.1%) 총 178명, 평균점수: 2.52점) 당신의 조직은 성평등한가요? 설문에서는 평등하지 않다는 의견이 성평등하다는 응답보다 2.5배 많았습니다. 성평등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물었을 때, 그 장면들은 제도부터 문화까지 조직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 연봉: 성별연봉차이, 남성 먼저 연봉이 오름 채용: 면접 시 취집/연애/결혼이야기, 여성은 계약직이나 비서업무 업무: 남성에게만 중..

9월의 민우회 9월 23, 30일 (금) 오후7시30분 2022 민우특강 - 불안과 항우울제 사이의 페미니즘 1강: 여성 우울증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강사: 이민아) 2강: 2~30대 여성들의 언어로 '우울증'을 다시 쓰다 (강사: 하미나) 서울여성플라자 시청각실 신청 bit.ly/2022mwtg 9월 24일 (토) 오후2시 약자생존: 약한, 아픈, 미친 사람들의 광장 '민우회', '신경다양성지지모임 세바다', '다른몸들' 세 단체가 함께, '비정상'이라고 밀쳐지고 배제되는 존재들의 축제를 엽니다. 청계천 한빛광장 상세정보 www.womenlink.or.kr/notices/24500 9월 28일 (수) 오전10~12시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을 위한 국회 토론회 - 현실과 다른 가족 규정, 어떻게 바꿀 것인..

〈사건은 갑자기 터지지 않는다: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위한 시범강의〉 2022년 10월 13일 19시 30분 ~ 21시 30분 청년문화공간 JU 동교동 1층 카페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고민한다면 뻔한 성희롱 예방교육이 아니라, 대중설문조사, 그룹·개인인터뷰로 모은 생생한 실제 사례들로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고민할 수 있는 표준강의안을 만들고 시범강연을 엽니다. 조직문화 강연이 궁금했다면 왜 조직문화를 점검해야 하는지 조직 내에서 이야기 하고 싶은데, 어떻게 말 건네야 할지 고민고민했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을 시범강연에 초대합니다 :)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한_ 시범강의 이후, 참여한 분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성평등 조직문화를 위한 표준강의안'을 완성합니다. 2022년 10월 13일 목요일 19시 30분 ~ 21..

[기자회견문] 건강가정기본법 개정 촉구 기자회견 《시대에 뒤떨어진 가족 규정 고수하는 여성가족부 장관 규탄한다》 얼마 전 여성가족부는 가족의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철회하며 현재의 가족 규정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여가부는 지난해 4월, 다양한 가족을 포용할 수 있도록 「건강가정기본법」의 가족 정의를 바꾸고, ‘건강가정’ 용어 등을 개정하겠다는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뀐 뒤, 첫 여성가족부 장관은 손바닥 뒤집듯 입장을 번복했다. 현행 가족 규정 유지와 더불어 인권위원회 역시 차별적이라고 판단했던 “건강 가정”이라는 용어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현재의 협소한 가족 규정을 유지하고, 차별적 인식이 담긴 ‘건강 가정’ 개념을 고수하겠다는 여가부의 입장은 시대의..